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36

콰인의 분석과 종합 구분 비판을 개념망 운영과 근거 심사의 철학으로 재구성하기 콰인의 고전 논문인 「경험주의의 두 가지 교의」는 철학의 어휘 창고를 흔든 사건이었다. 그는 의미가 사전적 정의나 통상적 동의어 관계만으로 고정된다는 가정을 의심하고, 문장의 진리와 정당화가 전체 이론망의 조정 속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을 설득력 있게 제시했다. 그 결과, ‘분석적 진리’가 의미만으로 참이고 ‘종합적 진리’가 경험으로만 검증된다는 분단은 해체된다. 동의어성은 논리·규칙·사용 관행의 얽힘에서만 확보되고, 관찰 또한 이론·장비·훈련에 의존한다. 더불어 그는 환원주의, 즉 모든 의미 있는 명제가 개별 관찰문장들의 논리적 합으로 축약될 수 있다는 신념을 비판하며, 자료와 가설이 쌍으로 얽혀 검증되는 ‘확증 전체론’을 내세웠다. 이 관점은 번역의 불확정성과 이론의 전면 수정 가능성, 그리고 ‘진리는 .. 2025. 10. 29.
논리실증주의 검증가능성과 과학언어 표준 운영 절차 해설 논리실증주의가 제시한 검증가능성의 기준은 철학적 수사에서 그치는 선언이 아니다. 그것은 과학 언어를 공적 절차로 고정하려는 규범의 묶음이며, 관찰문장과 이론문장의 관계, 작동적 정의의 필요, 측정의 재현성, 보고의 투명성, 그리고 실패의 기록까지 하나로 묶어낸 운영기술이다. 빈 서클의 논쟁은 형이상학을 추방하려는 과격한 열정으로 기억되지만, 그 핵심은 “어떤 문장이 의미를 갖는가”라는 물음에 답하기 위해 문장에 해당 절차를 부착하는 일이었다. 곧, 한 문장이 의미를 주장한다면 그 문장은 관찰과 측정으로 이어지는 경로, 사용한 장비와 표본과 통계 기법, 반증 시의 처리를 함께 제시해야 한다. 이 기준은 귀납과 확률, 이론의존성과 같은 난점으로 비판받아 왔지만, 그럼에도 오늘의 연구 윤리와 정책 고지, 임상.. 2025. 10. 29.
분석철학의 탄생 프레게와 러셀이 연 논리 혁신과 의미론의 전환 프레게와 러셀이 구축한 논리 혁신은 현대 철학의 지형을 근본적으로 바꾸었다. 전통 형식논리가 문장 구조를 충분히 해명하지 못하고 수학의 기초를 공들여 지지하지 못하던 시기, 프레게는 함수·논항 틀과 전칭·존재 양화를 도입해 사유의 문장을 변수와 양화자의 결로 재기술함으로써 의미 분석의 새로운 좌표를 제시했다. 이어서 그는 의미론의 핵심으로 대두되는 뜻과 지시의 구분을 통해 동일 지시어가 서로 다른 인지적 가치를 가진다는 사실을 정식화했다. 반면 자연수의 본질을 논리적으로 귀결시키려는 논리주의 프로그램은 집합론의 모순에 부딪혔고, 러셀은 유명한 역설을 통해 무제한적 집합 구성을 금지하는 제약의 필요성을 밝히며 기술이론과 유형이론으로 대응했다. 이 과정에서 철학의 과제는 모호한 형이상학적 선언보다 언어·논증.. 2025. 10. 28.
비트겐슈타인 그림이론에서 생활양식까지 의미와 규칙 그리고 언어 치료의 실천적 전환 비트겐슈타인의 사유는 전기와 후기로 나뉘지만, 분절이 아니라 문제의 이동과 초점의 수정으로 이해하는 편이 정확하다. 전기의 『논리철학논고』에서 그는 “세계는 사실들의 총체”라는 정식 아래, 명제가 사실을 ‘그림’처럼 등형적으로 모사할 때에만 의미를 갖는다고 보았다. 이때 언어의 본질은 논리 형식이며, 말해질 수 있는 것과 침묵해야 할 것이 날카롭게 갈라진다. 윤리·미학·형이상학은 “말해질 수 없음” 속에서 ‘보여진다’는 지평으로 밀려난다. 후기의 『철학적 탐구』에 이르면 동일한 언어의 난제가 전혀 다른 각도에서 다뤄진다. 그는 하나의 공통 본질을 찾는 시도를 포기하고 “의미=사용”이라는 표어 아래 ‘언어게임’과 ‘가족 유사성’, ‘규칙 따르기’와 ‘사적 언어 불가능성’을 논한다. 언어는 더 이상 사실을 .. 2025. 10. 28.
메를로퐁티 지각의 현상학과 몸의 철학을 일상의 설계 언어와 현장 실험 매뉴얼로 재구성하기 지각은 뇌 속 표상 기계의 출력이 아니라 세계 속에서 살아 움직이는 몸의 방향성과 리듬에서 솟아오르는 의미의 장이다. 메를로퐁티에 따르면 우리는 먼저 세계를 계산하지 않고 다룬다. 손은 컵의 무게를 예측하고 발은 계단의 높이를 추측하며 시선은 의미 있는 윤곽을 먼저 붙잡는다. 이런 선(先) 실천적 맞물림이 곧 ‘살’의 층위다. 그는 주관/객관의 분할을 해체하고 몸-세계의 상호침투를 통해 지각을 재정의한다. 지각은 정보 처리가 아니라 공명이며, 인식은 서술이기 전에 몸짓이다. 이때 ‘현상학적 환원’은 메스를 들고 분해하기보다 참여를 잠시 느리게 해 보편적 구조를 드러내는 기술이다. 본 글은 메를로퐁티의 관점을 ‘현장 관찰–지각 프로토콜–오류 지도–훈련 루틴–평가 척도’의 다섯 축으로 번역하여 업무 UX, .. 2025. 10. 28.
사르트르의 자유와 책임 그리고 타자의 시선을 오늘의 장면과 의사결정 언어로 재구성하기 사르트르의 존재론은 인간을 본질이 정해진 사물로 보지 않고 언제나 스스로를 넘어가며 선택으로 자신을 짓는 존재로 규정한다. 그는 의식이 ‘무’의 작용을 통해 현실을 거리 두고 가능성을 여는 운동이라 보았고, 바로 그 가능성 앞에서 인간은 전적으로 책임을 진다고 선언했다. 자유는 무한허용의 표어가 아니라 자기변명과 타자 탓의 회로를 끊는 냉혹한 구조이며, 이를 회피하는 기술이 곧 자기기만이다. 더불어 그는 ‘타자의 시선’을 통해 자유가 결코 독백이 아님을 밝혔다. 시선은 단순한 관찰이 아니라 나를 대상화하는 힘이어서, 나는 그 앞에서 수치와 자부심을 동시에 경험하고 나의 가능 공간을 다시 배치한다. 직장과 관계와 공적 장면에서 우리는 승인 욕망과 규범의 압력 사이를 오가며 때로는 책임을 외부에 떠넘기고, .. 2025. 10. 28.